백신예약 뒷문
얼마전에 접속자 폭주로 불만이 높았던 55~59세 코로나백신 접종 예약 사이트에 우회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15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추가 예약 시작 시간인 14일 오후 8시 이전부터 예약이 가능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일부 온라인게시판 등에선 예약 시작 30분 전부터 접속이 가능한 URL(웹사이트 주소)이 공유됐고 성공했다는 후기들이 공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가 된 URL은 질병청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의 두번째 화면으로 연결됐다. 알고 보니 질병관리청 사전예약 공식사이트인 누리집으로 접속한 게 아니었습니다.
예약페이지로 바로 연결되는 우회 경로를 입수한 거였습니다. 예약 재개 이틀 전부터 인터넷에 공유된 이 주소 정보가 누리꾼 사이에 빠르게 퍼졌습니다. 질병관리청이 공지한 시간에 접속했다가 사이트 폭주로 예약하는 데 고생한 대기자들은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시스템의 첫 화면을 거쳐서 해당 사이트로 이동해야 하나 이 과정을 건너뛸 수 있는 우회로였던 셈이었습니다. 실제로 예약 시작전 첫 화면엔 '잠시 후 예약이 시작된다'는 문구가 떴지만 우회로에선 예약이 가능했다. 우회로를 이용해 예방접종을 사전 예약한 사람도 사후 추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백신예약 취소?
정우진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시스템관리팀장은 "정식 예약 오픈 전 서버를 재기동하고 기능 점검을 하느라 오후 7시를 조금 넘겨서부터 예약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며 "메인 페이지만 접속을 막아 둔 것이어서 링크를 이용한 접속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방역 당국은 시스템 점검을 하면서 특정 주소를 통해 테스트했는데, 이 정보를 알고 접속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준비 과정이 매끄럽지 못한 데 대해 송구하다고 사과했습니다. 몇 명이나 미리 예약에 성공했는지는 파악되지 않았습니다.
방역 당국은 한때 사이트 폭주로 예약이 지연되긴 했지만, 대기자 대부분 예약을 마무리한 만큼 8시 전에 예약한 사람들을 강제로 취소하지는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정 팀장은 "예약 시스템의 보안 약점을 찾아볼 것"이라며 "이번에는 급하게 예약 시스템을 여느라 제대로 살펴보지 못한 부분이 있는 것 같은데, 다음 예약 때는 비슷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처하겠다"라고 덧붙였다.